[한국 정토교의 불교의식과 불교음악]에 대한 논평
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  정 태 혁
동국대학교 명예교수

 

1. 논문요지 :
   ① 한국의 불교의식에 음악과 춤이 따르는 것은 정토신앙과 밀교신앙 이 있기 때문이며, 이것을 역동적으로 나타내고 있으며,
   ② 정토에는 음악이 있고, 정토의 신비한 세계를 범패가 더해 준다.
   ③ 범패는 신비함을 보이는 것이다.

2. 논평 :
   ① 우리나라의 불교의식은 정토를 이 땅에 건설하려고 하는 것이므로 대중과 같이 정토에 왕생하는 것을 현시하고 있고,
   ② 정토왕생은 아미타불의 본원력으로 성취되는 것임을 보이는 것이 고,
   ③ 이 신비스러운 불력이 밀교의 범음으로 나타난다는 믿음에서 범패가 따른다.
   ④ 범음은 중생을 깨달음으로 인도하는 신비한 소리다.
   ⑤ 세친보살의 {왕생론}에서도 정토는 [장엄문성공덕]이 성취된 곳이극락이고 하고, 범성이 항상 울려 나온다고 했다.(梵聲悟深遠, 微妙聞十方)